image

해충ㆍ방제 서비스


■ 쥐의 생활사

식물성, 잡식성을 가진 쥐는 짐승강 쥐목에 속하는 소형짐승으로 설치동물이라고도 합니다. 들쥐의 74%가 등줄쥐의 생태를 이루고 있으며 도심지역에서 활동을 하고, 시궁쥐는 창고, 부엌, 천장, 하수구 등에서 서식하면서 인간에게 살모넬라증 등의 매개 질병을 유발하거나, 전선을 갉아 전기화재를 일으키는 주범이기도 합니다.

■ 쥐의 종류


곰쥐 - 지붕쥐, 애급쥐라고도 하며, 주로 항구도시 주변, 고츨건물에서도 서식한다.

시궁쥐 - 집쥐라고도 하며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.
주로 가옥내 부엌, 쓰레기장, 하수구 주변에 많고, 동둑에 땅을 파고 살기도 한다.

등줄쥐 - 야생 들쥐의 대표적이며 농작물, 경작지, 산중턱, 산정상에서도 발견된다.
신증후군출혈열의 병원체를 보균하고 있어 야외 활동 시 주의가 요구된다.

생쥐 - 성체의 무게가 20g정도여서 시궁쥐, 곰쥐의 새끼와 비슷하다.
머리에 비해 귀가 크고 발이 작으며 꼬리가 날씬하다.


■ 쥐의 주변환경 정리

쥐의 중요한 환경요인은 쥐의 먹이로 사람이나 동물이 소비하는 식량관리와 주택, 식당, 창고 등 모든 장소에서 철저히 하여야한다. 먹이의 제거와 차단 목적으로 곡물창고의 경우 가능하면 폭을 좁게 하여 간격을 두고 여러 곳에 나누어 쌓아올리고, 바닥에서 30cm를 띄워 물건을 쌓아두면 쥐의 은신처 제공을 예방할 수 있다.

또한 벽과 접해있는 바닥에 15cm의 폭으로 흰색페인트를 칠해두면 쥐의 서식유무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. 그리고 식당이나 주방에서 생기는 쓰레기는 정기적으로 처리하여야 한다. 쓰레기처리장은 주택과 충분히 격리된 곳이 좋고, 매몰 시 23cm 이상 흙을 덮어서 쓰레기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.

그리고 먹이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은 은신처이다. 쓰레기는 쥐가 둥지를 만들고 서식할 수 있으므로, 쓰레기 처리장을 옮기고, 산업 쓰레기나 건축자재를 건물근처에 쌓아둔 곳은 쥐의 좋은 은신처가 된다. 건물주변에 수풀을 제거하고, 지붕에 걸친 나뭇가지도 잘라 쥐가 나무를 타고 건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.





Copyright © 페스크린. All rights reserved.